카테고리 없음

교통 혼잡 평가지표의 유형

풍요 평화 만땅 연구원 2020. 12. 16. 18:22

"교통부문의 비용 및 성과지표 조사(1)

- 교통혼잡비용 연속성 확보방안 연구 -(한국교통연구원) "

 

1.교통혼잡의 정의

 

-교통혼잡은 사람의 이동수요, 도로네트워크의 형태, 교통수단의 유형 등 다양한 요소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 가능하며, 공간적 요소, 시간적 요소, 날씨와 사고 등 예상치 못한 확률적 요소, 그리고 도로공사 등 예상 가능한 요소 등에 의한 교통혼잡이 발생

-교통혼잡의 정도는 도로 구간을 이용하는 교통량 중 얼마나 많은 차량이 혼잡의 기준이 되는 통행속도 보다

 얼마나 느리게 이용했는가로 평가될 수 있음

*통행속도 및 교통량 자료가 집계된 평균치로 수집되는지 혹은 개별 차량별로 통행속도자료가 각각 수집이 되는지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다

 

- 도로구간의 평균속도와 교통량이 수집 되는 경우:

 교통혼잡 정도는 혼잡 기준속도와 평균속도의 차이와 교통량의 곱으로 정의

- 도로구간의 개별차량의 속도 분포도로 수집되는 경우:

 혼잡 기준속도 이하의 면적으로 교통혼잡의 정도를 추정

2. 교통혼잡 평가지표의 유형

 

- 통행속도나 통행시간에 기반한 혼잡크기(Traffic performance)로 표현하는 평가지표와

- 통행패턴에 기반한 신뢰도(Reliability)로 표현하는 평가지표로 구분될 수 있다.

 

가) 혼잡정도를 표현하는 평가지표

 

: 통행속도 및 교통량 자료를 이용하여 혼잡의 지속시간 및 강도를 표현하는 평가지표로 다양하게 표현

 

- 평균통행시간(속도) : 도로구간을 차량이 얼마나 빨리 통행할 수 있는 지를 나타내는 지표

- 지체율 : 도로구간 혹은 통행 단위별로 총통행시간 대비 혼잡으로 인한 손실시간의 비율

- 총지체시간 : 도로구간에서 혼잡으로 인한 모든 차량의 총통행시간

- 혼잡구간 총통행거리 : 혼잡이 발생한 도로구간을 통과한 모든 차량의 총통행거리

- 혼잡구간길이 : 네트워크에서 혼잡구간의 길이

- 접근성 : 특정 지역에서 통행목적을 달성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

- 통행속도 감소율 : 자유교통류속도 대비 혼잡시간대의 통행속도의 감 소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며, 특정 도로구간, 노선, 도시지역에 대해 첨 두시 및 비첨두시의 통행속도 감소율을 분석하여 혼잡의 심각도를 비 교 평가 가능함

- 혼잡 심각도 : 혼잡의 정도를 표현하는 총체적인 지표로 혼잡으로 인 한 통행속도의 감소정도 혹은 혼잡구간 총통행거리로 표현될 수 있음

- 혼잡 지속시간 : 특정 도로구간의 혼잡이 지속되는 시간

- 교통혼잡비용 : 특정 지역에서 혼잡으로 인한 모든 차량의 총통행시간 에 이용자의 시간가치를 반영하여 비용으로 환산한 값을 의미

 

나. 통행시간 신뢰도 평가지표(travel time reliability measures)

 

- 교통계획과정에서 신뢰도 평가지표는 일반적으로 일정 통행시간의 범위 내에서 통행 가능한 확률로 표현

- 통행속도 혹은 통행시간 정보가 시계열적이고 비집계 형태의 교통정보 수집이 가능한 경우에 분석할 수 있다.

*시계열분석이란 이렇듯 시간 변수의 흐름에 따른 종속변수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분석법

- 통행시간 표준편차 : 하루 중 통행속도의 분포가 얼마나 분산되는지에 대한 지표이며, 값이 클수록 혼잡한 경우와 비혼잡한 경우의 속도차이가 큰 것을 의미함

 

- 95-percentile 통행속도 : 하루 중 통행속도의 분포 중 95% 에 해당되는 통행속도를 의미하며, 평균통행속도와 비교함으로써 통행속도의 분포도 분석 시 활용됨 - Buffer Time Index : Buffer time이라 함은 이용자가 교통혼잡을 고려 하여 정확한 시간에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고려하는 통행 시간을 의미하며, 값이 클수록 교통혼잡으로 인하여 통행시간이 늘어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의미함

 

-Buffer Time Index : Buffer time이라 함은 이용자가 교통혼잡을 고려 하여 정확한 시간에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고려하는 통행 시간을 의미하며, 값이 클수록 교통혼잡으로 인하여 통행시간이 늘어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의미

 

- Planning Time Index : 이 지표는 대부분의 통행자가 목적지에 정해진 시간에 도착하기 위해 자유 교통류 통행시간에 추가해야 하는 최소한의 통행시간을 의미함. 즉, 대부분의 통행자가 반영해야 하는 최소한의 Buffer Time과 유사한 개념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