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비스수준(LOS;Level of Service)

2020. 12. 15. 17:17교통

. 개 요

 

1. 서비스 수준이란 주행속도, 주행시간, 통행자유도, 안락감 및 교통안전도로의 질적 운행상태를 설명하는 개념이다.

2. 서비스 수준은 A-F까지 6등급으로 분류하며 교통용량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해당도로의 기능, 교통특성등을 고려하여 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먼저 결정해야 한다.

 

. 서비스수준의 구분

1. 안정류(stable flow) : 차량소통에 약간의 지장은 있으나 큰 혼잡없이 주행가능

2. 불안정류(unstable flow) : 차량소통시 용량초과로 만성적 정체 발생

3. V/C = 1.0 : 용량상태

4. A  F까지 6등급 구분

1) 서비스 수준 A : 자유교통류(Free Flow)

2) 서비스 수준 B, C : 안정된 교통류(Stable Flow)

3) 서비스 수준 D : 높은 밀도의 안정된 교통류(Approaching Stable Flow)

4) 서비스 수준 E : 불안정 교통류(Unstable Flow, 용량상태)

5) 서비스 수준 F : 강제류(Forced Flow, 와해상태)

 

. 서비스 수준 평가시 고려사항

1. 통행속도와 통행시간 2. 교통차단 및 제약

3. 운전의 자유성 4. 안전성

5. 쾌적성 6. 경제성등

 

 

'교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도로 교통용량 분석(서비스교통량 산정)  (0) 2020.12.15